차량방호울타리
정상적인 주행경로를 벗어난 차량이 길밖 또는 보도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충돌시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도로 혹은 교량에 설치되는 시설물을 말함
공법개요 및 원리

- 챠량충돌의 충격력 흡수를 위한 Post연결대의 V놋치 적용
- 강도증대를 고려한 상단 BEAM 두께 (T = 4mm)적용
- 국부적인 Concrete를 적용하여 강성이 증대된 Composite Post

차량방호 울타리 등급적용
적용도로
등급 | SB1 | SB2 | SB3 | SB4 | SB5 | SB6 | SB7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기준 충격도(KJ) | 60 | 90 | 130 | 160 | 230 | 420 | 600 | |
저속구간 (설계도로 60km/hr 미만인 집산도로, 국지도로) | ![]() |
![]() |
||||||
기본등급 | ![]() |
![]() |
||||||
일반구간 (60km/hr 이상~80km/hr 미만인 주 간선도로, 보조간선도로) | 중앙분리대, 교량구간 및 노측위험도가 큰 구간 | ![]() |
![]() |
|||||
도로가 타도로와 교차되는 등 특수구간/ 특수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 | ![]() |
![]() |
||||||
기본등급 | ![]() |
![]() |
||||||
고속구간 (100km/hr 이상인 고속도로 및 전용도로) | 중앙분리대, 교량구간 및 노측위험도가 큰 구간 | ![]() |
![]() |
|||||
도로가 타도로와 교차되는 등 특수구간/ 특수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 | ![]() |
![]() |
표시는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등급,
표시는 도로여건이나 시설물 개발 수준에 따라 사용이 권장되는 등급
가드레일 및 차량방호 울타리 성능기준
구조성능
차량충돌 시 POST의 충돌 최대변형길이는 가드레일 110cm이하, 차량 방호울타리는 30cm이하 이어야 한다.
탑승자 보호 기능 평가기준
기준항목 | 단위 | 한계값 |
---|---|---|
탑승자 충돌속도 (THIV) | M/S(km/h) | 9(33) |
탑승자 가속도 (PHD) | g | 20 |
충돌 후 차량의 거동

- 차량충돌 중이나 충돌 후에 차량이 전도가 없을 것
- 차량충돌 후의 이탈속도는 충돌속도의 60% 이상일 것
- 차충돌 후의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% 이하일 것
SB4등급 (교량용)

SB4등급 (교량용)
- 곡선구간에 적용성 우수
- 곡선교량, 확폭교량, 램프교량구간 등에 적용시 유리함
- 주변경관과 조화
- 상·하부 가로보 사이에 디자인 판넬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주변경관과의 조화
- 시공성우수
- Post와 Rail간의 간결한 볼트체결로 시공이 간편 (특허공법)
- 유지보수의 용이성
- 양키타입의 편리한 볼트체결방식으로 신설 및 교체시 매입형보다 유지관리가 한결 우수함
SB5등급 (교량용)

- 국내최초의 알루미늄 2단 가로보 SB5등급 방호울타리
- 상부에 레일부재를 추가설치하여 난간겸용 방호울타리 (H=1, 100mm 이상)로 사용가능
- 간결한 체결구조로 시공 및 유지보수 탁월 (특허공법)